'二锅头酒'는 중국 배갈 중에서 우리 한국인에게 친숙한 술이다.
증류를 통해 술을 받아낼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술을 ‘과두(锅头)’라고 하고 두 번 솥에서 걸렀다고 해서 이과두주라고 하였다.
중국인들은 이 술맛에서 고향을 느낀다고 할 정도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으며, 증류주로 무색이기 때문에 지방 함량이 많은 중국요리에 잘 어울린다.
금나라 때 베이징을 '중도(中都)'라고 불렀는데, 이 곳에 증류주 기기가 전해지면서 소주(烧酒, 배갈)를 빚기 시작했다. 청나라 중기에 와서 경사(京師: 궁성이 있는 곳)의 배갈주 공장에서 배갈주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제조공정 개혁을 시행했다. 술을 증류할 때 냉각기로 사용하는 것을 '시궈[錫鍋, 주석 솥]' 또는 '톈궈[天鍋]'라고 불렀는데, 당시 세 개의 냉각 솥을 거쳐 술을 만들었다.
제조공정 개혁에서 술을 증류할 때 증류해 낸 알코올 증기를 주석 솥 안에 첫 번째로 넣어 냉수로 냉각한 후 추출하는 '주두(酒頭)'와 세 번째로 주석 솥 안에 넣은 냉수로 냉각한 후 유출하는 '주미(酒尾)'는 추출하여 기타 처리를 하고, 두 번째 냉각 솥에서 얻은 술만을 사용하여 품질을 높였다. 첫 번째 솥과 세 번째 솥에서 냉각된 알코올은 비등점이 낮거나 비등점이 있는 다양한 물질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주석 솥의 냉수로 냉각한 후 유출한 술만을 취한다고 하였으며 '이과두(二锅头)'라고 부르게 되었다.
청나라 말기에 이과두의 제조공정은 베이징의 각 지역에 전파되어 문인들과 묵객들의 찬사를 크게 받았으며, 오연기(吳延祁)는 시에서 '자고이래 인재는 드물고 오늘날에 감미롭고 맛좋은 술은 이과두라네.(自古人才千載恨,至今甘醴二鍋頭)'라고 말하면서 이과두주를 '감미롭고 맛좋은 술(甘醴)'로 표현하였다. 홍성이과두(紅星二锅头) 술은 베이징 문화의 전형적인 대표로서 베이징의 특산물이 되었다고 한다.
자료:인터넷에서 퍼옴
56도. 일요일 부산 송정해수욕장 근처 중국 음식점에서 시킨 이과두주(3000원)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악회 유감 (0) | 2013.04.28 |
---|---|
부산 용두산공원과 근대역사박물관 (0) | 2012.02.20 |
[스크랩] 이명박 네비게이션~ 우껴 죽습니다 ㅎㅎ (0) | 2011.04.19 |
봄을 느끼다 (0) | 2011.03.29 |
127시간(영화 추천) (0) | 2011.02.18 |